영어의 특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몇 가지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단어의 위치가 정해져 있다
– 명사 및 문장을 귀찮을 정도로 부연 설명을 한다
– 생략하는 것이 다반사다
– 반복하기를 싫어한다
영어는 구조 언어이기 때문에 쓰여지는 위치가 정해져 있다. 그 위치를 변경하면 뜻이 달라지기 때문에 위치를 사수하려는 경향이 있다. 우리말은 조사에 따라 뜻이 정해지므로 위치와 상관없이 뜻이 이해되지만 영어에서 주어와 목적어의 위치를 바꾸면 뜻이 달라진다.
그래서 앞에 사용한 문장을 뒤에서 동일하게 사용할 때 글쓴이 및 화자는 고민에 빠진다. 동일한 단어를 사용하면 문장의 수준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조치를 취하는 것이 반복되는 단어를 다른 단어로 치환하게 된다.
그 규칙은 다음과 같다.
* 대명사를 많이 사용한다
* 반복될 때는 동일한 다른 단어 및 유사한 단어를 사용한다.
* 다른 형식으로 사용한다. (단어 ->구, 구 -> 절(다양한 접속사 사용))
예를 들면,
– 지체 없이 일어 날 때 사용하는 [즉시, 곧]을 나타내는 단어인 Immediately 대신에 At once, without Delay를 사용할 수 있다.
– [강조하다]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단어인 emphasize(눈에 띄게 하다) 대신, 소리를 질러 강조할 때는 stress, 쓰여진 글에서 밑줄을 그어서 강조할 때는 underline, 쓰여진 글에서 글자를 더 밝게 하여 강조할 때는 highlight를 사용하면 된다.
– [지키다, 준수하다, 고수하다] 의 observe/keep/maintain/preserve/hold on to your own traditions로 섞어서 사용한다. 여기서 제시한 단어에 약간의 늬앙스의 차이가 있다. 그 늬앙스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면 금상첨화다.
좀 더 내용을 보고 싶으면 오른쪽 항목을 클릭하세요!
뉘앙스의 차이를 이해할 때는 기본적으로 [대표 단어(명사,동사)]가 있고 각각의 상황에 맞는 [전문 단어(명사, 동사)]가 있다. 대표 단어가 표현하는 범위가 넓고, 전문 단어는 표현할 수 있는 범위는 좁지만 그 상황에 적합하게 표현하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대표 단어와 전문 단어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표 단어는 보통 10~50개 정도의 기본 동사(have, make, let, do, take, pull, push….)인 경우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보면,
– I have a house. I own a house.는 조금 차이가 있다. I have~로 사용하면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지만 좀 구체적이지는 않다. 그래서 I own~으로 시작하면 법적으로 소유하는 것을 뒤에 말하게 된다. have는 일반 동사이고 own는 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는 법적인 소유를 말하기 때문에 좀 더 전문화된 동사이다.
– [먹다] 동사인 eat은 주로 주식으로 사용하는 음식을 먹을 때 사용하고, take는 주식이 아닌 것을 먹거나 마실 때 사용한다. have도 주식으로 사용하는 음식을 먹을 때 사용하지만 너무 포괄적으로 사용되는 단어이다. have dinner, eat lunch, eat locusts and wild honey(메뚜기와 석청은 세례 요한의 주식임을 알 수 있다), take a coffee, take some deep breath(숨을 깊이 들여 마셔라)
이렇게 단어를 치환하여 반복된 단어 사용을 벗어날 수도 있지만 아예 다른 형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통을 고수하다/지키다]인 observe your own traditions를 hold on to the traditions of men으로 바꿔 사용하기도 한다.
다음에 나오는 예제는 NIV 성경에 나오는 것들이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다르게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 즉시(지체 없이 일어날 때)
– “Come, follow me,” Jesus said, “and I will make you fishers of men.” At once they left their nets and followed him. (Mar 1:17-18)
(제자들은 예수님의 말씀이 떨어지자 마자 지체없이 행동을 했음을 알 수 있다.)
– When he had gone a little farther, he saw James son of Zebedee and his brother John in a boat, preparing their nets.
Without delay he called them, and they left their father Zebedee in the boat with the hired men and followed him. (Mar 1:19-20)
(예수님은 야고보와 요한을 보자마자 지체없이 부르셨다)
– Filled with compassion, Jesus reached out his hand and touched the man. “I am willing,” he said. “Be clean!” Immediately the leprosy left him and he was cured. (Mar 1:41-42)
(예수님이 “깨끗해져라”라고 명령하자 마자 지체없이 문둥병이 떠나 버렸다)
2) 동사 eat 대신 live on 사용, 명사 clothing 대신 전문 명사 garment 사용
– John wore clothing made of camel’s hair, with a leather belt around his waist, and he ate locusts and wild honey. (Mar 1:6 NIV)
– John wore a garment of camel-skin, and he lived on locusts and wild honey. (Mar 1:6 NJB)
(clothing은 일반적인 옷, garment는 유대인들이 주로 입는 긴 옷)
– And John was clothed in camel’s hair, with a leather band about him; and his food/diet was locusts and honey. (Mar 1:6 BBE)
([입다]의 wear 대신 be clothed를 사용하였고, 주어를 he가 아닌 his food로 하여 아예 다른 형식으로 표현)
3) 대명사 사용
– The whole Judean countryside and all the people of Jerusalem went out to him. Confessing their sins, they were baptized by him in the Jordan River. (Mar 1:5 NIV)
– At that time Jesus came from Nazareth in Galilee and was baptized by John in the Jordan. (Mar 1:9 NIV)
(5절에서는 세례 요한을 대명사(him)으로 표현, 9절에서는 직접 이름을 거명(John))
4) 씨앗을 심다(sow, sow a seed), 씨앗을 뿌리다(scatter the seed)
– “Listen! A farmer went out to sow his seed. (Mar 4:3 NIV)
– As he was scattering the seed, some fell along the path, and the birds came and ate it up. (Mar 4:4 NIV)
(반복을 피하기 위해 일반동사 sow 대신 전문 동사 scatter을 사용했는데, 유대인들은 파종을 할 때 씨앗을 하나 하나 심는 것(sow)이 아니라 씨앗을 뿌린다(scatter)는 것을 알 수 있다.)
5) 유사한 다른 접속사 사용
– As he was scattering the seed, some fell along the path, and the birds came and ate it up. (Mar 4:4 NIV)
– Some people are like seed along the path, where the word is sown. As soon as they hear it, Satan comes and takes away the word that was sown in them. (Mar 4:15 NIV)
(As와 As soon as는 조금 뉘앙스가 다르지만 서로 섞어서 사용해도 무방하다. 그래서 4절에 대한 설명으로 15절을 예수님이 하고 있다. As는 주절과 같은 시각에 일어나는 일을 표현하고, As soon as는 주절이 일어나기 바로 직전의 일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6) 다른 단어로 치환
One thought on “영어의 특징-반복은 싫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