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Host와 Write-Output의 차이점


  • 어떤 결과를 화면(Screen, Host)에 보여 주고자 할 때 Write-Host 및 Write-Output을 사용한다.
  • 결과를 화면에 보여 줄 때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Write-Host이다. Write-Host는 콘솔 화면에 결과를 보여주면서 색깔 및 구분자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지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화면에 나타나는 결과를 Pipleline이 입력 값으로 사용할 수 없다. 그래서 활용도가 좀 떨어진다.
    Help Write-Host -full

    Write-Host “사랑합니다.”
    Write-Host “사랑합니다.” -ForegroundColor white -BackgroundColor black


    Write-Host “사랑”,”희락”,”화평”
    Write-Host “사랑”,”희락”,”화평” -Separator “->”
    Write-Host “사랑”,”희락”,”화평” -Separator “, “
    Write-Host “사랑”,”희락”,”화평” -Separator “, ” -fore red
     

  • Write-Output은 화면에 나타나는 결과를 Pipleline의 입력 값으로 보낼 수 있어서 활용도가 좋은 편이다. 하지만 화면에 표현할 때 색깔 등을 입혀서 화려하게 보여줄 수는 없다.
    Write-output “사랑합니다”,”희락”,”화평” | where {$_.length -gt 3}
    Write-output “사랑합니다”,”희락”,”화평” | Sort-Object -Descending
    Write-output “사랑합니다”,”희락”,”화평” | Export-Csv yslee.csv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