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n, If, In case의 차이점 이해하기


다음 문장의 차이점을 한 번 생각해보자.

1. When it rains, I won’t see a movie.
2. If it rains, I won’t see a movie.
3. In case it rains, I won’t see a movie.

[ ]When은 “앞으로 반드시 일어날 상황/일, 이전에 일어났던 상황/일”을 말할 때 사용한다.
[ ]IF는 “일어날 수도 있고 일어나지 않을 수 있는 상황/일”을 말할 때 사용한다. 그래서 조건(50% 가능성) 및 가정(10% 가능성)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 ]In case는 “우려되는 상황/일, 불길한 사건”을 말할 때 사용한다. 해석은 “만약~” / “~에 대비하여”로 한다.

그래서 화자가 말할 때 이 3가지 중에서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말의 본질이 달라지게 된다. 우리말로 해석하면 모두 “만약 ~한다면, ~일 때”로 하기 때문에 별 차이가 없다. 그러면 화자의 의도를 왜곡할 수 있다.

In case를 사용하는 상황에 if를 써도 되지만(If가 In case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우리말로 변역했을 때는 거의 차이가 없지만, 우려되는 상황을 말할 때는 In case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의사 전달을 제대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In case of emergency / In case the web server is down
그런데 이 문장을 if the web server is down이라고 해도 문장은 가능하다. 웹서버가 정지되는지 안되는지 정확히 판단은 되지 않지만 만약에 웹서버가 정지한다면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좀 더 의사를 정확인 전달하기 위해서는 In case the web server is down이 좋지 않을까? 그 이유는 웹서버가 정지하면 업무를 못하고 물건을 팔 수 없는 일이 발생하므로 우려되는 상황을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If를 사용하면 모두 표현 가능하지만 이렇게 좀더 구체적으로 정확한 접속사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1) 그래서 In case it rains라고 말하는 경우는 화자가 비가 오면 안되는 상황에 처한 것이다. (화자는 비가 오면 외출하는 것을 무척 꺼리는 사람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영화 보러 가지 않겠다는 것이다.)

2) 그런데 If it rains라고 하면 화자의 상황은 그리 중요한 요건이 아니고, 단지 비가 올른지 안올른지 모르지만 혹시나 온다면 영화보러 가지 않겠다는 것이다.(50% 가능성 정도로 이해하기 때문에 조건의 뜻이 있다.)

** 만약 If it rains, I wouldn’t see a movie.라고 한다면 IF는 어떤 뜻이 될까? “가정”의 뜻이다. 그 이유는 조동사 would 때문이다. If 다음에는 일어날 수도 있고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는 일을 사용한다. 하지만 주절에서 would를 사용하면 주어의 의지를 약하게 하기 때문에 If 다음의 내용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 일이다. 그래서 이 문장은 “(오늘 바깥 날씨를 보니 비가 올 것 같지는 않지만) 혹시 비가 온다면(10%의 가능성) 난 영화보러 가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말하는 것이다.
엄밀히 말하면 If가 조건인지 가정인지는 화자의 의도에 달려 있으며, 그것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 주절의 조동사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즉, 주절에 would/should/could/might를 사용하면 If 다음에는 일어날 가능성이 희박한 일임을 알 수 있다.

3) When it rains라고 사용하면 화자는 일기 예보를 통해서 오늘 언젠가는 비가 온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비가 오면 영화보러 가지 않겠다는 것이다.

[ ]In case 주+동(=In case of 명사): 만약 ~ / ~에 대비하여

Case는 “사건”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in이라는 전치사 다음에는 꼭 “특정한 상황,상태,공간,시간 및 분야”가 오기 때문에
in case라는 것은 “특정한 사건이 발생하는 상황을 말한다” 그래서 그 사건을 대비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다.

In case 다음에는 반드시 일어나는 우려되는 상황(불길한 상황, 우려되는 사건)을 이야기하면 된다.
무조건 in case 는 if 와 동일한 뜻이라고 외우지는 말아라.

이렇게 이해하면 된다.
In 다음에는 “상황”이 오는데 아예 in case로 말하면 “상황”보다는 더 심각한 “사건”을 말하겠다고 선언하기 때문에 그 사건을 대비하는 뜻을 갖게 된다. 그리고 in은 when과 바꿔서 사용하기 때문에 반드시 일어날 상황을 말할 때 in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in case 다음에는 일어날지도 모르는 안좋은 상황/불길한 사건을 말하면 된다.

In case it rains : 비올 때 대비하여
In case it snows: 눈 올 때 대비하여
Take an umbrella, just in case. ( 우산을 가지고 가. 혹시나 하면/비올 경우를 대비하여; 여기서는 미리 우산을 말했기 때문에 굳이 in case 다음에 it rains를 말할 필요가 없다)

Just in case라는 말도 많이 사용한다. 그 다음에 나오는 불길한 상황 및 우려되는 사건을 쌍방간에 서로 알고 있을 때 사용한다.

In case of emergency, please call 911.
(비상 상황이면, 911로 전화해)

In case of dissension(알력, 불화), never dare to judge till you’ve heard the other side ~ Euripides #leadership

We hear that http://t.co/Rai6n3t0Pd is another way to comment on Net Neutrality, in case the official website is down for some reason….(어떤 이유로 공식 웹싸이트가 다운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이 문장을 보면 in case 다음에 불길한 상황 및 사건인 the official website is down for some reason을 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어떤 불길한 상황을 말하고자 할 때는 in case로 시작하면 된다.

나이를 다양하게 표현하기- 전치사 At


창세기 17장 17절 말씀을 다양한 영어 성경 버전으로 나이 표현의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Will Sarah bear a child at the age of ninety?”
  • Will Sarah give birth at ninety?
  • And how can Sarah have a baby when she is ninety years old?”
  • Shall Sarah, who is ninety years old, bear a child?
  • Can Sarah, a ninety-year-old woman, give birth?
  • Will Sarah, at ninety years old, give birth?
전치사 At은 “딱 그것”을 말하기 때문에 [집중],[정확한 것],[순간적인 것]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그래서 [at 나이/숫자]로 표현하면 “정확히 나이/숫자는~”로 이해하면 된다.
“정확한 것”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전치사 at은 나이뿐 아니라  [목표/방향, 거리, 눈금/비율, 가격,희생/대가]일 때도 사용한다 .

문장에 대한 부연 설명을 [2개의 접속사 문장]으로 할 수 있다.


 If it is possible, as far as it depends on you, live at peace with everyone. (Rom 12:18 NIV)
(할 수 있거든 너희로서는 모든 사람과 더불어 화목하라)

이 문장을 보면 Live at peace with everyone. 에 대하여 2개의 접속사 문장으로 부연 설명을 하고 있다.
“어떤 일이 가능하다면, 그 어떤 일이 네게 달려 있는 한(있다면), 평화롭게 살아라. 모든 사람과 함께.”

명사에 대한 부연 설명을 할 때는 1)전치사+명사, 2) 관계사 문장, 3) “관계사 + 동사”를 생략한 toV, Ving/Ved, 형용사, 명사로 하는데, 하나의 명사에 대하여 1개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꼭 하나의 전치사+명사로만 부연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언급한 것들을 여러 개를 섞어서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주어+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에 대한 부연 설명은 1) 접속사 문장 으로 하는데, 이것도 하나의 접속사 문장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위의 예문처럼 1개 이상(2개)으로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다음 예제들을 한 번 살펴 보자.
– I live.
I live in Seoul.
I live in Seoul with my family.
– I live in Seoul with my family who believes in Jesus Christ.
   – I live in Seoul with my family believing in Jesus Christ composed of 5 people.

– Just then a man in their synagogue who was possessed by an evil spirit cried out (Mar 1:23 NIV)

– You should memorize the word of God every moment which will give you wisdom, salvation and confidence of your life.
– You had better meditate on God’ words written in the Bible to lead to the right way of your life.
You ought to depend on the Word of life when you are in trouble and though you go well in your life.

[마하트마 간디의 7가지 사회악]을 [전치사+명사]의 입장에서 이해해보자


-Politics without Principle (원칙 없는 정치)
-Commerce without Morality (도덕성 없는 상업)
-Wealth without Work (노력하지 않고 획득한 부)
-Knowledge without Character (성품이 뒷받침되지 않는 지식)
-Science without Humanity (인류애가 없는 과학)
-Pleasure without Conscience (양심 없는 쾌락)
-Worship without Sacrifice (희생하지 않고 드리는 예배)
여기에 나오는 Politics, Commerce, Wealth, Knowledge, Science, Pleasure, Worship은 모두 좋은 말이다. 그런데 뒤에 [Without + 명사]를 첨가하여 앞의 명사를 부연 설명을 해보니 이렇게 언급한 좋은 말들이 본연이 뜻이 훼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영어에서 명사에 대하여 부연 설명하는 것을 옵션으로 여기지 말고 필수로 사용해야만 화자의 뜻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명사+동사, 동사+명사, 명사+Be동사+형용사 등으로 짧게 글을 쓰지 말고 항상 뒤에 전치사+명사를 사용하여 그 명사의 뜻을 분명하게 표현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The beginning of What?


The : 여러분도 알고 나도 알고 있는 것, 그것은 바로~

The beginning : 시작

The beginning of :구체적으로 어떤 시작인가?

The beginning of the gospel : 그 시작은 우리가 서로 알고 있던 복음이야

The beginning of the gospel about :그 복음은 이런 저런 것 중에 하나인데, 어떤 것에 해당하는 것인가?

The beginning of the gospel about Jesus Christ : 그 복음은 바울, 아볼로, 베드로의 복음이 아닌 바로 예수 그리스도의 것

The beginning of the gospel about Jesus Christ, the Son :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가 알고 있는 그 아들입니다.

The beginning of the gospel about Jesus Christ, the Son of God.: 마리아의 아들인가요? 아니요. 바로 하나님의 아들입니다.

이것이 바로 마가복음 1장 1절 말씀입니다.

마가는 이 복음서를 기록할 때 마가도 알고 사람들도 알고 있는 복음의 시작을 알리고 있습니다. 그 복음은 이사야서에 예언되어 있으며, 바로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것이랍니다.

영어의 특징-반복은 싫어!


영어의 특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몇 가지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단어의 위치가 정해져 있다
– 명사 및 문장을 귀찮을 정도로 부연 설명을 한다
– 생략하는 것이 다반사다
– 반복하기를 싫어한다

영어는 구조 언어이기 때문에 쓰여지는 위치가 정해져 있다. 그 위치를 변경하면 뜻이 달라지기 때문에 위치를 사수하려는 경향이 있다. 우리말은 조사에 따라 뜻이 정해지므로 위치와 상관없이 뜻이 이해되지만 영어에서 주어와 목적어의 위치를 바꾸면 뜻이 달라진다.
그래서 앞에 사용한 문장을 뒤에서 동일하게 사용할 때 글쓴이 및 화자는 고민에 빠진다. 동일한 단어를 사용하면 문장의 수준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조치를 취하는 것이 반복되는 단어를 다른 단어로 치환하게 된다.

그 규칙은 다음과 같다.

* 대명사를 많이 사용한다
* 반복될 때는 동일한 다른 단어 및 유사한 단어를 사용한다.
* 다른 형식으로 사용한다. (단어 ->구, 구 -> 절(다양한 접속사 사용))

예를 들면,

– 지체 없이 일어 날 때 사용하는 [즉시, 곧]을 나타내는 단어인 Immediately 대신에 At once, without Delay를 사용할 수 있다.
[강조하다]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단어인 emphasize(눈에 띄게 하다) 대신, 소리를 질러 강조할 때는 stress, 쓰여진 글에서 밑줄을 그어서 강조할 때는 underline, 쓰여진 글에서 글자를 더 밝게 하여 강조할 때는 highlight를 사용하면 된다.
– [지키다, 준수하다, 고수하다] 의 observe/keep/maintain/preserve/hold on to your own traditions로 섞어서 사용한다. 여기서 제시한 단어에 약간의 늬앙스의 차이가 있다. 그 늬앙스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면 금상첨화다.

좀 더 내용을 보고 싶으면 오른쪽 항목을 클릭하세요! Continue reading “영어의 특징-반복은 싫어!”

[It is 강조구 for 사람 toV] 이해하기


영어에서 It은 무엇인가? 

1) 반복을 싫어하는 영어의 특성 때문에 앞에 나온 명사 대신 사용하는 대명사이다.
2) This 및 That은 특정한 것을 가리키면서 말하지만 It은 특정한 것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명확하지 않는 것을 대충 [거시기]하면서 말할 때 사용
3) 그래서 It은 날씨, 분위기, 거리, 시간 등등을 말할 때 주어로 사용할 뿐 아니라, 주어/목적어가 금방 생각이 나지 않으면 이것 대신 It을 사용한다. 이것은 [It for toV] 용법이다.
4) 단어나 구(Phrase)를 강조하기 위해서 [It is 강조구 toV/that절/,”문장” /if절(명사절)]을 사용한다

여기서는 원어민 입장에서 [It for toV] 구문을 어떻게 사용할까?에 대하여 정리해보고자 한다.
학교에서 배운 문법에 의하면 ‘주어를 짧게 사용하기 위하여 가주어 It을 앞에 사용하고 진짜 주어는 뒤에 toV로 사용한다’이다.
100% 맞는 말이다. 영어를 듣는 원어민 입장에서 주어가 길어지면 언제 동사가 나올까 기다리다가 좀 힘들어 한다. 그래서 일단 주어를 짧게 말하고 얼른 동사를 말해주는 것이다.

난 여기서 다양한 문법적인 것을 최대한 고려하지 않고(문법은 외국어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필요함) 단지 단어가 나열되는 순서대로 이해하려고 하고 또한 말하고 문장을 쓰는 입장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그래서 문장에서 It은 앞에 나온 명사에 대한 대명사이거나 또는 주어/목적어가 정확히 생각나지 않으면 그냥 It을 쓰고 뒤에서 toV 혹은 Ving로 진짜 주어 및 목적어를 사용하는 쪽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영어는 철저히 [주어에서부터 시작하여 동사의 동작으로 진행하여 흘러가는 동영상]이다.
그리고 쓰여지고 들리는 영어문장을 주어에서부터 단어가 나열되는 순서대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문장 뒤에서 부터 꺼꾸로 앞으로 오면서 이해하는 것이 금물이다.)
Download: [이용식]IT IS 구문 성경 예제
좀더 내용을 보려면 오른쪽 문장을 클릭하세요. Continue reading “[It is 강조구 for 사람 toV] 이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