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dom.exe를 사용하여 컴퓨터 이름 변경하기


로컬 및 원격 컴퓨터의 컴퓨터 이름을 빨리 변경해보자.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netdom.exe 명령을 사용하면 좋다.
즉, Windows를 설치한 후 컴퓨터 이름을 변경하고자 하거나, 원격 컴퓨터의 컴퓨터 이름을 변경하고자 할 때(Using Powershell) 사용하면 좋다.
보통 컴퓨터 이름을 변경하고 나면 반드시 재시작을 해야만이 적용되기 때문에 아래 명령어를 그냥 외워두면 좋다.

Netdom RenameComputer %computername% /NewName:jesuswithmePC /Force /Reboot 0

** 이 작업을 하려면 반드시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온해야 한다.
** %computername%은 현재 컴퓨터 이름을 일컫는다. 직접 현재 컴퓨터 이름을 입력해도 되지만 그러면 일일이 컴퓨터 이름을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Powershell에서 Email 보내기


Send-MailMessage를 사용하여 자신의 상용 메일을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이메일을 보낼 수 있다. 특히 아래와 같이 작업하여 mymessage.ps1을 만들어 보내면 쉽게 보낼 수 있다.

또한 Windows Server를 사용하여 smtp Server를 자신이 만들어서 사용한다면 불편하게 암호를 입력하지 않고도 쉽게 보낼 수 있다. 이렇게 하는 장점은 사용자가 로그온/로그오프 할 때 자동으로 이메일을 보낼 수 있다는 것이다.

1) Hotmail을 이용하여 SSL로 메시지 보내기

Send-MailMessage -From jesuswithme@hotmail.com -SmtpServer smtp.live.com -UseSsl $true -Port 587 -Credential (Get-Credential jesuswithme@hotmail.com) -To jesuswithme@gmail.com -Subject “This is my message from Powershell” -Body “How is it going?” -Attachments C:\temp\project.txt

** 이렇게 하면 Popup 창이 나타나는데 jesuswithme@hotmail.com의 자신의 password를 입력해야 한다

** .ps1 스크립틀 만들 때 Param()을 이용하면 To, Subject, Attachment등을 다양하게 입력하면서 이메일을 보낼 수 있다.

2) 로컬 SMTP Server를 이용하여 메일 보내기

Send-MailMessage -From jesuswithme@hotmail.com -SmtpServer localhost  -To jesuswithme@gmail.com -Subject “This is my message from Powershell” -Attachments C:\temp\project.txt

3) Param()을 이용하여 스크립트를 생성하여 메일 보내기

Param (
[Parameter(Mandatory=$True)]
$To,
[Parameter(Mandatory=$True)]
$Subject,
[Parameter(Mandatory=$True)]
$Body
)
Send-MailMessage -From jesuswithme@hotmail.com -SmtpServer localhost -To $To -Subject $Subject -Body $Body

** 이것을 SendMail.ps1 파일로 저장하여 실행하면 To:,  Subject:, $Body: 가 Popup이 되면 적절하게 입력하여 메일을 보낼 수 있다.

여러 사용자 계정의 휴지통에 있는 파일을 모두 한꺼번에 삭제하기


Windows Vista이상에서는 cmd.exe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여 rd /s c:\$Recycle.Bin 입력한 후  Y를 입력하면 모든 사용자 계정의 휴지통의 내용이 삭제된다.
이것은 powershell에서는 안된다.

rd는 RMDir이다. 즉, remove directory이다.

Windows XP 및 Windows server 2003 에서는 rd /s c:\recycler 을 실행한다

Windows 8의 Metro 기능 끄기


혹시 Metro Interface가 불편하거나 특정한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으면 Windows 7 UI로 사용할 수 있다.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검색(Search)에서 regiedit.exe 실행한다
2)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 으로 이동하기
3) RPEnabled 키의 값을 “0“으로 변경한다. 그러면 꺼진다. (다시 Metro 기능을 켜기 위해서는 “1”로 설정하면 된다.)

참고: http://goo.gl/qV7pr

Hyper-V 3.0 in Windows 8 and Windows Server 2012의 기능 요약


<주요 내용>

  • PowerShell 지원
  • 상단한 성능 향상
  • VHD 및 VHDX 지원
  • 가상 컴퓨터의 메모리를 수동으로 지정하지 않는 Dynamic Memory 지원
  • Remote Management
  • Live Storage Migration

 <Hyper-V 클라이언트 주요 특징>

  • 32 Virtual CPUs
  • NUMA in VM
  • 512 GB RAM
  • Sleep, Hibernate
  • Management console
  • Manage Hyper-V Server from this console
  • Snapshots
  • Up to 1024 running VM’s
  • VHD, and VHDX (up to 16TB)
  • Dynamic disks, Differencing disks, pass through disks, fixedsize disks
  • 4K sector size
  • DMTF comliant WMI
  • Networking offloads
  • Live Storage Migration
  • Native VHD boot
  • Dynamic Memory
  • Remote Management
  • PowerShell
  • Export snapshots
  • Resource Pools
  • External, Internal and Private Networks
  • Bi-Direction audio
  • Enlightened IDE & SCSI controllers
  • Hyper-V on SMB
  • up to256 virtual drives
  • up to 12 virtual NICs
  • VLAN support
  • 3D Graphics (Software)
  • Mutli Touch
  • USB redirection (with RDP)
  • Wireless NICs
  • Export & Import VMs
  • Hyper-V Extensible Switch
  • VHDX Resiliency

<가상 컴퓨터의 운영체제>

  • Windows XP SP3
  • Windows Server 2003 SP2
  • Windows Server 2003 R2 SP2
  • Windows Vista
  • Windows Server 2008
  • Windows 7
  • Windows Server 2008 R2
  • Windows Storage Server 2008 R2
  • Windows Home Server 2011
  • Windows SBS 2011
  • Windows 8
  • Windows Server 8
  • CentOS 5.2-5.6
  • CentOS 6.0
  • Red Hat Enterprise Linux 5.2-5.6, 6.0, 6.1
  • SUSE Linux Enterprise 10, 11

자녀들의 컴퓨터 사용 제한하는 방법


자녀들이 컴퓨터를 한 번 사용하면 절제하는 경우가 드물다. 그래서 하루에 부모와 합의하여 컴퓨터 사용 시간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을 위해서 부모는 집안의 컴퓨터에 대한 관리자 권한을 가지고서 다음과 같이 작업을 하면 된다.

  1. 아래와 같이 확장자가 .bat인 파일(RestrictComputerUse.bat)을 생성한다.
    @echo off

    shutdown -s -f -t 1200 -c “컴퓨터는 20분만하고 네가 할 일을 먼저 하면 좋겠다. 사랑해.”
  2. 먼저 자녀가 사용하는 계정(ID)이 TempUser라고 한다면 이 계정을 사용못하도록 변경한다
    @echo off
    net users tempuser /active:no

    이 내용을 DeactivateUser.bat로 작성한다.
  3. 컴퓨터에 로그온하면 자동으로 20분 후에 종료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화면에 글자를 보여준다.
    이렇게 하면 게임을 20분 정도하다가 20분 후에 자동으로 컴퓨터가 꺼진다. 혹시 자녀가 컴퓨터를 다시 사용하기 위해서 켜는 상황이 발생해도 tempuser가 사용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어서 로그온 할 수가 없다. 매일 이런 일을 경험하면 하루에 설정된 시간 동안만 컴퓨터를 하게 된다.
  4. 이 파일을 [작업 스케줄러]에 등록하여 컴퓨터에 로그온할 때 마다 RestrictComputerUse.bat파일을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컴퓨터를 끌 때 자동으로 DeactivateUser.bat 파일을 실행하도록 하면 된다.
    그러면 나중에 부모가 자녀의 계정(tempuser)를 다시 사용하도록 해주면 된다. (net users tempuser /active:yes) 
  5. 주의 사항은 부모는 administrator 계정을 사용하여 이 계정의 암호를 자녀가 알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Windows Server 2012의 Server Core버전에서 GUI로 전환하기


Windows Server 2012의 Server Core 버전에서는 각종 Role을 구성하기 위해서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즉, 평소에는 보안 및 효과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해 명령어 기반으로 운영하다고 특정한 Role(서비스, 예를 들면 DNS 서비스)을 설치 및 구성하기 위해 잠시 GUI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CLI에서 GUI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Server Core 버전을 설치하면 6GB 정도의 용량을 차지한다.
Server Core 버전에다가 GUI를 사용하도록 변경하면  10.5~11GB 정도의 용량을 차지한다. 이렇게 변경하여  CLI로 유지하면 10.5 GB이고,  GUI로 유지하면 11.2GB 용량이 된다.
Full Verion을 설치하면 10GB의 용량을 차지한다

1) 현재까지는 Windows Server 2012 First Beta 버전이어서 반드시 Windows Update를 먼저 해야 하다. 그러기 위하여 Sconfig.exe 입력하여 Server Configuration 모드로 들어 간다.

2) 그리고 윈도우 업데이트를 하기 위해 6번(Download and Install updates)을 입력하여 All을 선택한다. 이렇게 하여 필요한 업데이트를 모두 한다.

3) Windows PowerShell로 들어간다

    PowerShell.exe

4) 어떤 업데이트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Get-Hotfix

지금까지는 사전 작업을 하였다. 이제부터는 본격적으로 작업을 한다. 즉, GUI 모드로 사용하도록 설정을 한다. 이것을 하기 위한 설정 방법은 2개이다.

[쉬운 방법]은 SConfig.exe를 실행하여 Server Configuration 모드로 들어 가서 12번(Restore Graphical User Interface(GUI))을 선택하는 것이고,
[또 다른 방법]은 PowerShell에서 필요한 2개의 Feature(Server-GUI-Mgmt-Infra, Server-GUI-Shell)를 설치하는 것이다.

둘 중의 하나의 방법으로 진행하면 [Server Manager, Control Panel 및 applets, Windows Explorer, Taskbar 및 Notification area, IE10,  Built-in 도움말]이 설치된다. 그 결과 하드 디스크 용량이 6GB에서 11GB로 들어나게 된다.

[쉬운 방법]

5) Sconfig.exe를 실행하여 Server Configuration 모드로 들어 간다.

6) 12번(Restore Graphical User Interface(GUI))을 선택한다. 그러면 화면이 팝업되는데, 이 때  Yes를 클릭하여 [GUI 모드를 Enable] 시킨다

그러면 자동으로 [Dism 유틸리티]가 실행되어 필요한 Feature 설치한 후 다시 시작하겠느냐는 메시지가 나온다 .이 때 Yes를 입력하여 컴퓨터를 재시작한다.

[또 다른 방법]

5) 설치할 수 있는 WindowsFeature 목록을 확인한다
    Get-WindowsFeature

이미 설치되어 있는 Role과 Feature를 확인하고 싶다면
Get-WindowsFeature
 | findstr [X]

6) 필요한 2개의 WindowsFeature를 설치한 후 컴퓨터를 재시작한다
     Install-WindowsFeature -Name Server-GUI-Mgmt-Infra, Server-GUI-Shell -Restart

(** [User Interfaces and Infrastructure] Feature 의 하위 기능인 Graphical Management Tools and Infrastructure와 Server Graphic Shell을 설치한다.)

(** 이 작업을 하면 Server Manager, Control Panel 및 applets, Windows Explorer, Taskbar 및 Notification area, IE10,  Built-in 도움말이 설치된다)

Server Configuration 모드에서 Restore Graphical User Interface(GUI)을 선택하여 GUI 모드를 Enable을 하던지, 아니면 PowerShell을 사용하여 직접 필요한 2개의 Feature를 설치하면 컴퓨터가 재부팅되어 GUI mode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상태는 사실상 Full version을 설치한 것과 동일한 상태가 된다. 이런 상태에서 Server의 필요한 Role과 Feature를 설치하고, 구성하고 배포하면 되는 것이다.

자, 그러면 모두 필요한 것을 구성한 후(예를 들면 Active Directory, DNS, Web Service를 설치 및 구성)에는 다시 Server Core 버전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효과적인 메모리 사용 및 보안 때문이다. 물론 이렇게 되돌아 가도 늘어나 하드디스크 용량을 줄어들지는 않는다.

설치한 2개의 Feature를 삭제하여 GUI에서 CLI 환경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2개의 방법이 있다.

[쉬운 방법]

7) 화면 오른쪽 상단에 있는 [Manage] – [Remove Roles and Features]를 클릭한 후 [User Interfaces and Infrastructure] Feature 의 하위 Feature인 [Graphical Management Tools and Infrastructure] 와 [Server Graphic Shell]을 선택을 해제하여 설치된 것을 제거한다.

[PowerShell을 이용한 방법]

7) 화면 아래에 있는 Taskbar의 Windows PowerShell을 실행한다. 그런 다음, 아래의 cmdlet을 실행하여 설치한 2개의 Feature를 다시 제거한다. 그러면 다시 CLI 모드로 부팅이 된다.

Uninstall-WindowsFeature -Name Server-GUI-Mgmt-Infra, Server-GUI-Shell -Restart

이렇게 하면 다시 재부팅하도록 요구되면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원래의 CLI 모드로 운영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정리하면…
Windows Server 2012의 Core Version을 설치하여 운영할 때 필요한 역할(Role) 및 기능(Feature)을 설치하여 구성하여 배포하기가 어려울 때는 이 Core Version을 Full Version으로 전환하여 사용하면 된다. 전환하는 방법은 Server Configuration 모드 및 PowerShell을 사용한다.

참고: http://bit.ly/IpkSt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