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V에서 사용하는 NIC의 VMDq 및 SR-IOV 기술 이해하기


Hyper-V에서 VM을 운영할 때 네트워크에서 부하가 걸려서 문제가 된다. 그래서 네트워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VMDq 또는 SR-IOV 기술을 이용하면 된다.

VMDq는 Windows Server 2008 R2에서부터 지원하고, SR-IOV는 Windows Server 2012 Hyper-V에서부터 지원된다.

그리고 이 기능이 지원되는 NIC에서만 가능하다. 즉, 서버용 NIC에서만 된다는 것이다.

– Hyper-V에서 Virtual Switch는 VM간의 통신을 위해서 Hub 역할과 같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싶다.

– Physical NIC에 VMDq 기능을 설정하고 각 VM에서도 VMDq 기능을 설정하면 Bridge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즉, CPU core는 각각의 VM으로 들어오는 패킷을 전용으로 처리한다.

– SR-IOV가 지원되는 NIC를 장착했을 때 Hyper-V manager에서 Virtual Switch를 생성할 때 SR-IOV를 설정하면 VM으로 들어오는 패킷을 CPU의 개입 없이 NIC가 직접 각각의 VM에 패킷을 전달하므로 Hyper-V의 Virtual Switch에 부하를 주지 않으므로 네트워크 I/O가 상당히 좋아 진다. SR-IOV를 비유하면 Switch와 비슷하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동영상을 참고하면 된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